(전)네이버 팀장, 우아한형제들 이사 천세희 강사님의 스타트업 로드맵 그려보기 (feat. 아이지에이웍스)

2022. 12. 12. 12:56마케팅 실무 교육/아이지에이웍스 IGAW 1기

12/12(월) 아이지에이웍스 강의

전 네이버 팀장
전 한국 맥도날드 시니어 팀장
전 우아한 형제들 이사
전 클래스 101 부대표
전 채널톡 COO
현 더자람컴퍼니 CEO

와... 진짜 제가 본 커리어 중에서 가장 최고였던 분..
하지만 더 대단한건 지금은 대기업이지만 강사님이 당시 들어갔을 때는 다 스타트업이라고 하셨다.
우아한 형제들도 전체 60명 있을 때 들어가셨고 클래스 101도 월매출 3억일 때 들어가셨다고 하셨다.

어쩌면 스타트업을 본인이 들어가서 대기업으로 만드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본인은 커리어를 설계해본적이 없다고 하셨다.
주어진 일이 너무많고 서바이벌하기 바빠서 그냥 주어진 상황 속에서 어찌어찌 진행하셨다고 한다.
얼마나 일을 열심히하고 진심이었으면 이럴까 싶었다.



스타트업을 볼 때 세상을 나아지게 해주는지를 상상해보면 좋다.
스타트업의 존재이유 "문제해결"

스타트업이란?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신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려고 나온 조직

The Lean Startup
"이 제품이 과연 만들 가치가 있을까?"
"이 제품과 서비스를 기반으로 우리가 지속 가능한 사업을 만들 수 있는가?"
"제품, 기능, 마케팅 캠페인 등 스타트업에서 행하는 모든 활동이 유효한 학습을 위한 실험이다"

멈춰있는 시장에 있으면 가설검증 능력이 멈춰있는데
변화하는 시장에 있으면 가설검증 능력이 높아진다.

내가 세상에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는 가설을 세워야 데이터가 잘보인다.

스타트업의 성장 곡선 "속도"

블리츠 스케일링!! 불확실한 상황에서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엄청난 속도로 회사를 키워 압도적인 경쟁우위를 선점하라.
살아남기 위해서는 빠르게 성장해서 시장을 독점해서 승자만 독식한다.

PMF : Product Market Fit
PMF를 발견하면 빠르게 성장해야함. 시장에서 잠식당하지 않기 위해서.

리드 호프먼 - "스타트업은 절벽에서 뛰어내려, 추락하기 전에 비행기를 조립하는 일과 같다."
스타트업의 생존은 'PMF'를 찾는데에 있다.
PMF : Product Market Fit : "스타트업에게 가장 중요한 유일한 것은 매력적인 시장에 매력적인 제품을 출시하는 것"
Product ( Fit ) Market

스타트업이 PMF를 찾는 방법은 '가설검증'

가설을 수립하고 빠르게 검증하고 수정해서 다시 도전!!
만들기 -> 제품 -> 측정 -> 데이터 -> 학습 -> 가설 -> 만들기 무한 루프

스타트업이란 세상의 문제를 정의(가설)하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해서 세상에서 살아남는 조직

스타트업형 인간이 대기업에 있으면 힘들 것 같고
대기업형 인간이 스타트업에 있으면 힘들 것 같다.

스타트업에서 안된다~하면 진짜 난리난리난다.
스타트업 세계에서는 아무것도 "그냥 그런게" 아니기 때문이다.

경력 Like 정글짐

 

스타트업 리더의 조건

*네이버

*우아한형제들
송파구에서 일 잘하는 방법 11가지
1. 9시 1분 9시가 아니다.
2. 업무는 수직적, 인간적인 관계는 수평적
3. 간단한 보고는 상급자가 하급자 자리로 가서 이야기 나눈다.
4. 잡담을 많이 나누는 것이 경쟁력이다.
5. 개발자가 개발만 잘하고, 디자이너가 디자인만 잘하면 회사는 망한다.
6. 휴가 가거나 퇴근시 눈치 주는 농담을 하지 않는다.
7. 팩트에 기반한 보고만 한다.
8. 일을 시작할 때는 목적, 기간, 예상산출물, 예상결과, 공유대상자를 생각한다.
9. 나는 일의 마지막이 아닌 중간에 있다.
10. 책임한 실행한 사람이 아닌 결정한 사람이 진다.
11. 솔루션 없는 불만만 갖게 되는 때가 회사를 떠날 때다.


스타트업에 지원할 때 그 회사의 미션과 비전을 꼭 보기.

*사명(미션)
*목표의식
*전략적 사고(Out of Box)
*인간에 대한 이해(공감)
*끈기(멘탈)

스타트업의 미션과 비전 & 사업모델 & 조직문화

 

스타트업 관점으로 내 커리어 보기

연봉에서 벨류에이션으로~~

나의 벨류를 높히려면 내가 잘하는 것에 집중해야 해요

강사님은 본인이 지방대이셨기 때문에 계약직을 위주로 시작하셨다.
대우증권도 계약직, 네이버도 계약직으로 들어갔지만 들어가서 다 정규직으로 전환됐다고 하신다.

성장, 뱀머리, 제로투원
본인이 재밌는걸 위주로 결정하셨다고 한다.
남들이 하기 싫어하는 일들을 본인이 픽업해서 했다고 한다.

잘하는 것을 모르겠으면 '가설검증'을 해보세요.

학습. 실험. 회고

나만의 성장 루프를 만들어 보자.
여기에 시장, 시간, 운이 더해진다면 멋진 커리어를 만들 수 있다.

Q.커리어 직무를 로드맵을 어떻게 그리셨나요?
자기 회고를 끊임없이 해야한다.
자기 효능감을 중요시 여겼다.

Q.좋은 스타트업 기준은 무엇인가요?
그 사업의 비전, 미션, 사업모델, 조직문화 등 종합적으로 판단.
혁신의 숲에서 검색해보기.https://www.innoforest.co.kr/

Q.꼭 대학을 가야할까요?
취업을 위해서 가는건 No. 하지만 호기심의 프레임워크를 넓힐 수 있다는 장점은 있음.
다양한 정보와 구조를 배울 수 있어서 그러한 점은 장점이 있음.
학력은 본인의 밸류를 결정하는데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

출근할 때 오늘은 무슨 일이 일어날까의 재미가 있었고 ㅋㅋㅋㅋ
회사가 안정성이 갖춰지고 모든게 구축되면 그 때 나왔다고 하심.

--
사소한 성공을 가장 경계하라.
체력과 시간되면 못할게 뭐가 있냐. 사이드잡 해라.


감마 Summary

스타트업 인턴을 6개월 했을 때 회사가 MVP하는 것처럼 나도 MVP 모델이라고 생각해서 계속 실험해봐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그런데 그 생각을 잠시 잊고 있었는데 강사님 말이 듣고 다시 한 번 리마인드를 할 수 있었다.
퍼포먼스 마케터, 브랜드 마케터 등 여러 마케터 직무 등 내가 흥미있어 하는 분야에 나를 던져보고 실험해보고
성과가 나는지 가설 검증을 해봐야겠다. 지속적으로.
내가 들은 강의 중 가장 유쾌했던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