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88)
-
0317(월) 재생에너지 현황, 월스트리트 관세전쟁, 소비심리하락우려, 베어마켓진입가능성, 파월의장 연설 엔비디아GTC 전망
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불확실성과 장기적 성장1. 재생에너지 주가 하락, 산업 전망은 불투명최근 재생에너지 기업들의 주가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S&P 글로벌 클린 에너지 트랜지션 인덱스는 5년래 저점을 기록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덴마크 풍력 터빈 기업 베스타스(-44%), 유럽 최대 해상풍력 기업 올스테드(-47%), 스페인 재생에너지 그리드 사업자 이벌드롤라(-30%) 등이 있다. 미국 넥스트에라 에너지도 횡보세를 보인다.이러한 하락의 배경> 2021년 이후 미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투자 자금 유출, 해상 풍력 등 초기 비용이 큰 사업의 이자 부담 증가, 수요 불확실성 확대2. 정책 변화와 석유 시장 변수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설 경우 석유 생산 확대 기조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재생에너지 ..
2025.03.17 -
[🔖매경신문 #0911] AI 공존시대 우리가 길러야할 역량은 AI 문해력, 트럼프와 해리스의 서로를 공격하는 지점은? 내년 상반기에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로 변경 추진
AI와의 공존시대 우리가 살아남으려면? 인간의 두뇌는 살아 숨쉬는 AI 1) AI 구조 : AI는 학습된 패턴으로 해법을 찾는 기술2) AI가 터치할 수 없는 감정의 영역과 기존에 없던 창의성 역량을 키우는 것도 경쟁력 강화에 주요3) AI 문해력의 중요성 강화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의미와 결과물을 제대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힘, AI 결과물에 대한 가치 평가를 제대로 내릴 수 있는 능력 트럼프와 해리스의 서로를 공격하는 부분은?트럼프 to 해리스 : 코로나 시대보다 높아진 인플레이션, 불법체류자 1100만명 역대 최고, 실업률 역대 최고 해리스 to 트럼프 : 경제사범 형사사범 선거개입 성폭력 기소된 사람 등 전과자 리스크, 의회 난입 선동 조장, 독재자 등 법치주의를 훼손하고 분란을 조장한다..
2024.09.11 -
[🔖매경신문 #0904] 주담대 규제에 이어 이제 신용대출 규제까지? 소비자물가상승률 2% 과연 진짜 안정일까? 금리인하 아직 섣부르다. 신한은행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 1위, 대환대출 이탈 방지, LG유플러스 AI 콘텐츠, 커넥트현대부산 전략은?
1. 주담대 규제로 신용대출 및 제 2금융권 풍선효과 우려, 이제 신용대출와 전세대출 보증비율도 줄인다!현재 현황1)2024년 8월 5대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약 9조 6200억, 주담대 증가폭 약 9조 > 역대 최대 증가폭> 서울 아파트 중심의 부동산 가격 상승 및 9월 스트레스 DSR 2단계 적용 전에 대출 막차 수요 2)1주택자의 수도권 주담대 불가, 1주택자의 전세대출 불가, 주담대 최대 만기 30년으로 축소다주택자 규제를 넘어 1주택자까지 주담대와 전세대출 자체를 막아버리면서일말의 투기 목적의 대출을 막으면서, 거주 목적의 실수요자 위주의 대출을 진행 1금융권 주담대를 조이면서 이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신용대출과 2금융권으로 이동하는풍선효과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는 상황! *풍선효과란? 정부가 ..
2024.09.04 -
[🔖매경신문 #0902] 저축은행 양극화로 적기시정조치, 딥페이크 범죄손놓는 한국, 체코 잭팟 K원전 추가수주나서, 1주택자 주담대 전세대출불가 우리은행, 전세사기 2조 5천억 2030 피해자 다수, 인텔이 망한 이유?
1. 저축은행 양극화에 따른 부실저축은행 증가, 적기시정조치 안건 예정1)저축은행 양극화 심화: 상위 5곳의 저축은행은 603억원의 순이익, 그 외 저축은행 74곳은 총 3804억원 순손실: 상위 5곳의 저축은행 연체율은 7%대, 그 외 저축은행 74곳은 연체율 9%대: 상위 5곳은 흑자, 그 외는 적자를 보이며 저축은행간의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2)부실저축은행 최대 7곳 적기시정조치 검토: 적기시정초지는 일정의 강제 경영 개선 조치: 권고, 요구, 명령으로 구분됨: 금융사는 1)부실채권 처분 2)자본금 증액 3)배당 제한 같은 조치를 이행하게됨 3)저축은행 M&A 규제 완화 방안 발표 예정: 수도권 저축은행에 대한 인수 문턱을 낮추기 위함 정리하자면?건전성과 수익성 측면에서 저축은행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2024.09.02 -
[#1 경공] 트리핀딜레마 유동성딜레마, 은행예대율, 이자율과 채권가격의 상관관계, 자산유동화 자산유동화증권 ABS 주택저당증권 MBS, 집합투자기구
1)트리핀딜레마 유동성딜레마 (feat. 달러 딜레마 with 국제수지적자 or 글로벌 무역 감소)트리핀 딜레마는 기축통화국이 내부 경제 안정과 외부 유동성 공급이라는 두 가지 상충되는 요구 사이에서 발생하는 달러 딜레마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 딜레마는 국제 금융 시스템의 근본적인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기축통화국이 지속적인 무역 적자와 국제 신뢰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듭니다.트리핀 딜레마의 원인 달러가 필요한 이유: 전 세계가 무역을 하고 외환을 관리하려면 달러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석유를 살 때, 달러로 결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전 세계에 달러를 충분히 공급해야 합니다.달러 공급 방법: 미국이 전 세계에 달러를 공급하려면..
2024.08.30 -
[🔖매경신문 #0830] 역대급 폭염 열대야 5배 뛴 시금치와 채소 가격? 청년도약계좌 최대 60만원 더 준다? 금리 인상 아닌 깐깐한 대출한도로 주담대 증가폭 감소, 현대카드 롯대백화점 등 유통업계의 제휴 활발한 이유?
역대급 폭염 열대야로 급등한 채소 가격, 장바구니 물가 감당하기 어렵다?Why? 채소 가격 급등의 이유가 뭘까?1)상추, 시금치 등 폭염과 열대야에 약해서 말라 죽거나 시드는 등 공급이 줄어들면서 가격 상승2)휴가철 바캉스로 인한 채소 수요 증가로 가격 상승 How much? 얼마나 뛰었을까?1)상추는 6월 100g 961원 > 8월 2451원으로 2.5배 급등2)시금치는 6월 100g 790원 > 8월 4027원으로 5배 급등3)배추 1포기 가격 2배 인상4)무와 오이도 각각 90%, 73% 인상 What’s the solution? 어떻게 대처해야할까?1)가을이 다가오면서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공급이 다시 늘어나 가격이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2)But 시금치는 생육 기간이 길어서 공급이 바로 되지 않아,..
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