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테셋 TESAT 공부(11)
-
테셋 너무경 19강 20강 :: 소비최적화와 수요함수, 가격효과 대체효과 소득효과 정상재 열등재 기펜재
📑 19장 소비최적화와 수요곡선 수요함수의 도출 과정 중요 1)MUx/MUy = Px/Py 2)MUx/MUy = aY/bX 3)PxX + PyY = M 세 개의 연립방정식을 세워서 문제를 푸는게 핵심 📑 20장 가격효과 가격효과란? 명목소득이 일정할 때 재화의 가격이 변함에 따라 수요량이 변하는 효과 가격 효과 = 대체효과 + 소득효과 대체효과란? 효용이 일정할 때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하면 다른 재화의 수요량이 변하는 것. 예를 들어 한 재화가 가격이 오르면 다른 재화의 수요량이 늘어나는 것. 소득효과란? 한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실질소득을 증가시켜 전체 수요량을 증가시키는 것 한 재화의 가격이 증가하면 실질소득을 하락시켜 전체 수요량을 하락시키는 것. 명목 소득 = 소득 금액 실질 소득 = 소득 금액..
2024.01.23 -
테셋 너무경 15강 16강 17강 18강 :: 소비자균형, 무차별곡선, 한계대체율, 한계대체율체감의법칙, 예산선, 상대가격, 예산선의 이동, 소비자균형, 무차별곡선의 한계대체율=예산선의 상대가격 ..
📑 15강 소비자이론의 기본개념 Point : 소비자이론은 소비자균형을 구하는 것이다. ✅소비자이론이란? 수요 곡선이 우하향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이론 소비자는 효용을 극대화하는 소비를 한다. 소비자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재화의 수량 = '소비자균형' '무차별곡선'과 '예산선'이 만나는 접점이 소비자 균형이 달성되는 곳 효용함수 > U = xy : y= U/x = 직각쌍곡선 = 무차별곡선 소비자균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골고루 소비'하는 것이 좋다는게 경제학적 관점 📑 16강 무차별곡선 Point : 무차별곡선은 효용을 의미한다. 무차별곡선상의 모든 점의 효용은 동일하다. 무차별 곡선 > 우하향 볼록한 곡선 = 직각쌍곡선 = 효용함수 소비자 선호의 기본 공리 ⭐️단조성 : 재화의 소비가 증가할수록..
2024.01.23 -
테셋 너무경 13강 14강 :: 효용, 한계효용, 한계비용, 총비용, 평균비용 / 생산가능곡선, 한계변환율, 기회비용
📑 13강 총, 평균, 한계 ⭐️ Point : 한계 비용의 개념을 명확히 알자. 총비용, 평균비용, 한계비용의 관계를 명확히 알자. 동일한 재화의 소비가 증가할수록 그 재화에 대한 소비자의 효용은 점점 감소한다 즉, 한계효용은 '체감'한다. 동일한 재화를 생산할수록 그 재화에 대한 비용은 점점 증가한다. 즉, 한계비용은 '체증'한다. ✅한계효용 : 1개의 재화를 더 소비할 때 얻는 추가적인 효용 ✅한계비용 : 1개의 재화를 더 생산할 때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 평균비용이 증가할 때! 한계비용 > 평균비용보다 더 크다. 왜냐면 평균비용의 증가폭이 크지가 않기 때문에 평균비용이 감소할 때 한계비용 < 평균비용보다 더 작다. 왜냐면 평균비용의 감소폭이 크지가 않기 때문에 그래서 그래프 구간별로 평균비용이 감..
2024.01.23 -
📑 테셋 너무경 11강,12강 :: 종량세, 종가세, 누진세, 사회적안정장치, 래퍼곡선, 조세의 전가, 조세의 부담, 탄력성의 크기, 초과부담
📑 11강 조세의 이해 종량세 : 단위당 t원의 조세 부과 종가세 : 가격의 t%만큼 조세 부과 조세를 부과할수록 사회 전체 후생 감소 🔽 수요자 입장에서 가격이 늘어나기 때문에 : 수요 다운 🔽 공급자 입장에서 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에 : 공급 다운 🔽 종량세를 부과하면 공급곡선이 상방으로 평행이동 : 왼쪽으로 이동 > 공급 다운 수요곡선이 하방으로 평행이동 : 왼쪽으로 이동 > 수요 다운 중립세 :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세금을 부과하여 후생손실이 없는 세금 but 이론적인 세금으로 현실적으로 불가능 ✅누진세 : 소득이 커질수록 세율이 상승 ✅비례세 : 소득과 관계없이 일정한 세율 ✅역진세 : 소득이 작을수록 세율이 상승 사회적안정자동장치 : 누진세 > 경제가 성장할수록 소득이 많아져, 많은 사람들이 세금..
2024.01.23 -
📑 테셋 너무경 9강,10강 :: 점탄력성, 직선수요탄력성, 수요탄력성 값의 변화, 총매출액, 직각쌍곡선탄력성, 소비자잉여, 생산자잉여, 총잉여, 최고가격제도, 최저가격제도
📑 9강 > 점탄력성핵심 : 모자 공식으로 풀자 ⭐️ 직선의 수요 탄력성> 모든 수요 곡선 상에서 '수요 탄력성' 값이 다르다> 수요 곡선의 '중점'에서 탄력성 = 1 점이 좌측으로 갈수록 탄력성 'UP' = 분모가 줄어들기 때문에, 우측으로 갈수록 탄력성 'down' = 분모가 커지기 때문에 > Q=0일때 P값이 최대가 되고 탄력성이 최대값(왼쪽 끝) / P=0일때 Q값이 최대가 되고 이때 탄력성이 최소값(오른쪽 끝) > '매출' = '총수입'은 탄력성 =1인 값에서 최대이며, 탄력성 1로 갈수록 총수입이 증가함 모자 공식이란? 닮음을 활용해서 탄력성을 구하는 것 > 왼쪽부터 분모, 그 다음 오른쪽은 분자라 해서 모자 공식! ⭐️ 직각쌍곡선의 수요 탄력성> y = 1/x 형태로 볼록한 형태의 곡선..
2024.01.23 -
📑테셋 너무경 8강 :: 수요의 가격 탄력성, 소득 탄력성, 교차 탄력성, 공급의 가격 탄력성, 수요의탄력성과매출액, 농산물의역설
🤔 탄력성이란? 독립변수가 변했을 때 종속변수가 몇퍼센트 변했는가를 측정한 값. 그러니까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냐를 보는 것. 📑 수요의 가격 탄력성 : 소비자의 입장 재화의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가 얼마만큼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것. 📍수요의 가격 탄력성 = 수요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값을 항상 절댓값을 붙여야함 > 변화율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항상 값이 양수임. 예를 들어 '쌀'은 가격이 내려갈 때 수요가 크게 오르지는 않는다. 쌀과 같은 우리 필수품들은 대체적으로 비탄력적이다. 근데 쌀에 비해서 과자는 가격이 내려가면 더 많이 먹게 된다. 그러면 쌀에 비해서는 과자는 탄력적이다. 🤔그러면 '기울기'를 통해서 탄력적인지 비탄력적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기울기가 완만하다? ..
2024.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