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23. 13:46ㆍ경제공부/📑 테셋 TESAT 공부
📑 9강 > 점탄력성
핵심 : 모자 공식으로 풀자
⭐️ 직선의 수요 탄력성
> 모든 수요 곡선 상에서 '수요 탄력성' 값이 다르다
> 수요 곡선의 '중점'에서 탄력성 = 1
점이 좌측으로 갈수록 탄력성 'UP' = 분모가 줄어들기 때문에,
우측으로 갈수록 탄력성 'down' = 분모가 커지기 때문에
> Q=0일때 P값이 최대가 되고 탄력성이 최대값(왼쪽 끝) / P=0일때 Q값이 최대가 되고 이때 탄력성이 최소값(오른쪽 끝)
> '매출' = '총수입'은 탄력성 =1인 값에서 최대이며, 탄력성 1로 갈수록 총수입이 증가함
모자 공식이란? 닮음을 활용해서 탄력성을 구하는 것 > 왼쪽부터 분모, 그 다음 오른쪽은 분자라 해서 모자 공식!
⭐️ 직각쌍곡선의 수요 탄력성
> y = 1/x 형태로 볼록한 형태의 곡선이다
> y = 1 / P의 n승으로 'n이 수요 탄력성 값'이다
> 직각쌍곡선의 수요 탄력성에서 모든 탄력성의 값은 동일하다
> 매출액 = P X Q
정리
직선상 점탄력성은 수요 탄력성=1이 되는 값에서 매출액이 최대가 되고
왼쪽으로 갈수록 탄력성 값이 크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탄력성 값이 낮아진다.
cf) 수요의 교차탄력성에서 부호는 > 대체재면 +, 보완재면 -
📑 10강 > 잉여와 사회후생
✅소비자잉여란?
소비자가 '최대' 지불할 수 있는 금액과 실제 가격의 차이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 기울기가 완만할수록
완전 민감하기 때문에 최대지불금액이 줄어들어 소비자 잉여가 '감소'하고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 기울기가 가파를수록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지불금액이 늘어나 소비자 잉여가 '증가'한다.
동일한 재화를 계속 구매할수록 그 재화에 대한 간절함이 떨어져서
최대지불용이 금액이 떨어지게됨.
수요 가격 탄력성이 완전 탄력적일경우 가로로 일자로 되어서 소비자 가격과 동일해져
소비자 잉여가 0이된다.
✅생산자잉여란?
공급가자가 어떤 재화를 팔려고 하는 '최소의 금액'과 실제 시장 가격의 차이
공급 탄력성이 탄력적일경우 > 시장 가격에 민감해서 최소 금액이 시장 가격과 차이가 줄어들어 > 생산자잉여가 감소하고
공급 탄력성이 비탄력적일 경우 > 시장가격에 민감하지 않아서 최소 금액이 시장 가격보다 커져서 > 생산자잉여 증가
공급 가격 탄력성이 완전 탄력적일경우 가로로 일자로 되어서 소비자 가격과 동일해져
생산자 잉여가 0이된다.
총잉여란? 소비자잉여 + 공급자잉여 = 사회적 후생
✅최고가격제도(가격상한제) ex. 임대료 상한제
: 정부가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일정 가격이상 못올리게 만드는 것
: 시장 가격보다 낮게 상한가가 형성되어야함 > 만약 시장가보다 높게 상한가가 형성되면 효과를 가질 수 없음.
가격상한제의 부정적 효과
1)초과수요가 발생 2)상품의 질 저하 3)암시장 형성 4)사중손실이 발생해 사회후생 감소
5)임대인 = 생산자의 후생은 무조건 감소 6)임차인=소비자의 후생은 증가할수도 감소할수도 있음
6)총 잉여 = 사회적 후생는 무조건 감소
✅최저가격제도(가격하한제) ex. 최저임금제도
: 정부가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일정 가격 밑으로 못내리게 하는 것
: 시장 가격보다 높게 형성되어야함 > 만약 시장가보다 낮게 형성되면 효과를 가질 수 없음.
가격하한제의 부정적 효과
1)초과공급이 발생 2)암시장 형성 3)저소득층 등 보호받지 못하는 계층 더 피해 입음
4)기업=수요자의 후생은 무조건 감소 5)노동자=공급자의 후생은 증가할수도 감소할수도 있음
6)총 잉여는 무조건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