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도 없는 간편 결제 시장 'OO페이'의 포화. 왜 그런걸까?(feat. 컬리페이, 애플페이)

2023. 4. 13. 13:54✍️ 마케팅 공부공부/📈 인사이트 탐색

 자체 간편 결제, OO페이 출시 과연 실일까 독일까  feat. 컬리페이

🤔왜 출시했는가? 편리한 쇼핑 경험 증대 

자체 페이를 등록한 고객들은, 이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편리성과 혜택 때문이다.

 

소비자 입장

1)편리성

소비자 측면에서도 편의성이 크다. 온·오프라인 상거래 결제 시스템 이용 시 추가적인 공인인증서 인증이나 카드 정보 입력이 필요 없다.

-> 신용카드나 계좌 결제정보를 휴대전화에 저장한 뒤 비밀번호·지문·안면인식 등 간단 인증으로 결제가 가능해 고객들이 편하게 쇼핑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2)혜택

하다. 여기에 페이 서비스 사용에 따르는 혜택도 크다. 고물가가 극심한 상황에서 한 푼이라도 아끼려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략적으로 페이를 사용하는 이들도 많다. 

 

기업 입장

1)락인효과

*일반 결제 : 주문 페이지 접속 > 카드 > 비밀번호 > 결제 > 주문서 페이지

*간편 결제 서비스 : 주문 페이지 접속 > 간편 결제 앱 > 결제 > 주문서 페이지

cf)자체 페이 서비스 : 주문 페이지 접속 > 지문 인식 혹은 페이스 아이디 > 주문 완료

>다른 결제수단을 이용하는 것보다 자체 페이시스템을 이용하면 결제에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결제 과정에서 구매 이탈률을 낮추는 효과

>동시에 구매 결제 과정이 단축되기 때문에 구매 과정에 편의성을 높여 재구매율 상승 가능

 

즉, 편리성 제공을 통한 결제 과정에서 구매 이탈률 개선 및 재구매성을 높이는 락인 효과 기대.

> 마켓컬리의 2022년 재구매율이 77%에 달하는 등 충성고객층을 포함해 1,200만명 누적 고객들의 쇼핑 편의 증대를 통한 컬리 락인 효과 기대.

 

2)페이를 통한 데이터 수집

페이를 통해 쌓인 소비자 구매패턴 등 빅데이터도 수집해 분석해서 상품 개발 및 마케팅에 활용 가능

 

3)금융업으로 연계

페이 고객을 확보해 금융업으로 연계한다면 추가 수익원 확보가 가능해진다. 

실제로 쿠팡은 핀테크 자회사 쿠팡페이 아래 손자회사인 쿠팡파이낸셜을 설립해 쿠팡 입점 사업자를 대상으로 자금을 빌려주는 캐피털 사업에 진출

 

4)수수료 절감

각종 페이업체와 PG사로 들어가는 수수료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PG사들은 1~2%대 수수료를 받고 있다.

🤔왜 개발했는가? 온라인 간편 결제 시장의 성장

1)2022년 상반기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금액은 하루 평균 7231억원으로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 상반기 대비 151.4%나 증가했다.(출처 : 한국은행) 

2)지난 2021년 기준 연간 결재액은 약 221조원 수준으로 국내 민간 결재액(1000조원)의 22%를 차지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가?

자체적인 서비스 개발을 통한 ‘컬리페이’ 출시

BC카드와의 제휴를 통한 ‘BC바로 컬리 카드’ 출시

 

컬리페이 

가장 빠른, 주문 완료까지 10초

가장 안전한, 외부 이동없이 결제

가장 혜택이 큰, 최대 12% 적립률

 

🤔간편결제 과연 괜찮을까?

1)간편결제 시장의 포화

페이 결제 시장은 네이버, 카카오(035720), 삼성 등 3사가 시장 점유율 90%를 차지

특히 지난달 간편결제 시장에 애플페이가 진출하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할 전망

2022년 기준 국내에서 서비스 중인 간편 결제 서비스는 46개

 

2)신세계 쓱페이 스마일페이 사업 철수

신세계는 유통업계 최초로 지난 2015년 간편 결제 시장에 뛰어들며 이마트(139480), 스타벅스 등 그룹 계열사를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여왔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쓱페이와 스마일페이 서비스 가입자는 각각 950만명, 1600만명으로 추산된다. 

> 회원수는 많지만 회원당 객단가가 낮은 만큼 수익성이 높지 않다는 판단 아래 사실상 사업을 철수

> 자체 페이 이용자를 늘리려면 혜택을 줘야하는데,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수익사업을 찾는다는 명분 아래 이용자를 늘리려다가 마케팅비가 늘어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3)기존 서비스의 낮은 이탈률

간편결제 서비스는 이용자 이탈률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로부터 이탈할 적극적인 동기가 없는 한 기존 서비스를 주력 서비스로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

 

감마 summary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매출 볼륨을 키우기 위해서 자체 간편결제는 필수라고 생각이 든다. 수익성 악화는 예견되어 있지만 여러 기업들과의 제휴를 통해 기존 간편결제의 힘을 받아 성장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프로모션으로 활용해 인지도 제고 등 기업의 볼륨을 확장시키는 것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