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7. 15:36ㆍ✍️ 마케팅 공부공부/📈 인사이트 탐색
0317(월)
출처 : 미라클레터
트럼프와 윌리엄 매킨리의 비교 분석
1. 트럼프의 매킨리 존경과 정책적 유사점
트럼프 대통령은 보호무역주의를 강조하며 매킨리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그는 매킨리를 "미국을 부유하게 만든 대통령"이라고 언급하며, 자신의 관세 정책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삼았습니다.
주요 사례:
- 2017년, 트럼프는 오바마 정부가 ‘데날리’로 변경한 북미 최고봉의 명칭을 다시 ‘매킨리’로 되돌리는 행정명령을 발동.
- 2024년, 미시간주 워렌 연설에서 매킨리의 높은 관세 정책을 미국 경제 호황의 원인으로 언급.
- 뉴욕경제클럽 연설(2024.9.5)에서 매킨리 보호무역 정책의 효과를 강조.
2. 매킨리의 보호무역 정책과 정치적 성장
매킨리는 1890년 ‘매킨리 관세법’을 통해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했지만, 물가 상승과 농민 반발로 공화당이 중간선거에서 대패했습니다. 이후 오하이오 주지사로 재기한 뒤 1896년 대선에서 승리했습니다.
정책:
- 평균 관세율을 50%까지 인상하여 미국 산업 보호.
- 경제 불황과 소비자 반발을 초래했지만, 이후 상호관세 정책으로 조정.
3. 1896년 대선과 경제 정책
매킨리는 보호무역과 금본위제를 주장하며 선거에서 승리했습니다.
그의 정책은 자본가들의 지지를 받았으며, 이는 트럼프의 재정정책과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당시 논쟁:
- 매킨리: 금본위제 유지, 보호무역 강화.
- 제닝스 브라이언: 은본위제 도입, 자유무역 주장.
결과:
- 대형 자본가들(J.P. 모건, 록펠러, 카네기)의 후원을 받아 매킨리 압승.
- 대통령 취임 후 높은 관세 정책 지속, 상호관세 도입.
4. 스페인-미국 전쟁과 제국주의 정책
매킨리는 미국의 해외 팽창을 적극 추진하며,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을 통해 필리핀, 괌, 푸에르토리코 등을 획득했습니다.
주요 사건:
- 메인호 폭발(1898): 미국이 이를 스페인의 공격으로 규정하며 전쟁 개시.
- 스페인 패배(1898.12.10): 파리 조약 체결, 미국이 식민지 획득.
- 제국주의 정책 강화: 쿠바 보호국화, 필리핀 통치.
5. 매킨리 암살과 정책적 유산
1901년 매킨리는 아나키스트 리언 촐고시에게 암살당했습니다. 이후 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대통령직을 이어받으며 진보주의 정책을 강화했습니다.
정책적 유산:
- 보호무역 강화 → 이후 루스벨트-윌슨 시기의 개혁 정책으로 조정.
- 미국의 제국주의 확장 → 20세기 초 국제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계기 마련.
트럼프 vs. 매킨리 비교표
경제 정책 | 보호무역주의, 미국 우선주의 (MAGA) | 보호무역주의, 매킨리 관세법(1890) |
관세 정책 | 중국 등과 무역전쟁, 높은 관세 부과 | 평균 50% 관세율 인상, 상호관세 도입 |
정치적 배경 | 비즈니스맨 출신, 공화당 내 반기성향 | 오하이오 출신, 전쟁 영웅, 공화당 주류 |
1896년 vs. 2016년 선거 | 노동자 계층 공략, 기업인 지지 | 보호무역 강조, 대기업 후원 |
해외 정책 | 미국 우선주의, 동맹국과의 긴장 | 스페인-미국 전쟁, 제국주의 강화 |
주요 사건 | 미-중 무역전쟁, 데날리 명칭 변경 | 메인호 사건, 파리 조약 체결 |
유산 | 미국 보호무역 정책 재조명 | 미국 제국주의 정책 확립, 경제 보호정책 영향 |
트럼프와 매킨리는 보호무역주의와 경제적 민족주의에서 유사점을 가지지만, 해외정책에서 매킨리는 확장주의(제국주의)를, 트럼프는 고립주의를 더 강조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1️⃣보호무역주의
트럼프 역시 캐나다·멕시코·중국 등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라는 같은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전쟁, USMCA(NAFTA 대체 협정) 흔들기, 철강·알루미늄 관세 등. 유사한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2️⃣미국 노동자 보호
매킨리는 미국내 일자리 창출과 산업 보호를 강조했는데요. 트럼프 역시 "미국 노동자를 위한 경제 정책(American Worker First)"을 내세운 상태입니다. 해외 시장 보다는 국내 제조업, 국내 노동자 우선 보호를 천명했습니다.
3️⃣강대한 미국
매킨리는 1898년 미국 스페인 전쟁으로 미국을 일약 강대국 반열에 올려 놓았는데요. 트럼프가 간절히 원하는 지역은 따로 있습니다. (유럽은 NATO가 알아서 하게 하고, 동북아는 중국의 확장을 막는 것만 미국이 하고, 지역 안보는 한국과 일본이 알아서 하려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북극해 싸움 : 그린란드를 중심으로
21세기의 패권 경쟁은 단순히 전통적인 해양 패권을 넘어, 이제 북극해로 그 무대가 옮겨 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동북아시아와 태평양을 중심으로 움직였던 우리의 시야를, 이제는 보다 북쪽으로 넓혀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1)물류 운송 기간 단축
무엇보다 가장 큰 관심은 북극 항로에 쏠려 있습니다.
북극 항로를 활용할 경우 유럽에서 동북아시아로 오갈 때 걸리는 시간이 적어도 일주일은 단축될 전망입니다.
북극항로가 개척되면 물류 혁명이 가능합니다.
북극 항로는 운송시간을 40% 단축 시켜줄 뿐 아니라 수심이 깊어 초대형 선박마저 이용이 가능합니다.
2)에너지 자원의 보고
얼음이 녹아내린 북극은 주요 에너지 자원의 보고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지질조사국은 북극 지방에 천연가스는 약 1669조 입방피트, 천연 액화가스는 440억 배럴, 원유는 900억 배럴이 매장 예측
천연가스는 전 세계 미개발 천연가스의 약 30%에 해당하는 규모 이고요.
원유는 사우디아라비아 전체 원유 매장량(약 2670억 배럴)의 30~35%에 해당합니다.
3)많은 국가들의 배타적 경제수역 주장 치열
북극항로가 열리려고 하자, 많은 국가들이 배타적 경제수역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점유율을 놓고보면, 러시아가 약 40.6%로 가장 넓은 해역을 차지하고 있고,
그다음으로 캐나다(27.4%), 덴마크(그린란드 포함, 18.9%), 미국(알래스카, 10.4%), 노르웨이(2.8%) 순입니다.
트럼프의 그린란드 전략 요약
1. 그린란드 매입 시도와 배경
- 트럼프는 미국이 그린란드를 획득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주장.
- 덴마크에 직접적으로 그린란드 매입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함.
- 단순한 영토 확장 욕심이 아니라 전략적·경제적 이유에서 비롯된 접근.
2. 북극의 경제·군사적 중요성 증가
- 북극 해빙이 가속화되면서 새로운 항로 및 자원 개발 기회 등장.
- 그린란드는 북극 항로의 핵심 위치를 차지하며, 미국의 북극 전략에 중요한 요충지.
- 러시아, 중국이 북극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상황에서 미국도 영향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논리.
3. 북극 항로(Arctic Route)와 그린란드의 역할
- 북방 항로(NSR): 러시아 연안 경유, 중국·유럽을 최단 거리로 연결.
- 북서 항로(NWP): 캐나다 북극 군도 통과, 미주-아시아 최단 루트.
- 극지방 항로(TSR): 북극점 통과, 최단 루트지만 해빙이 가장 늦게 사라짐.
- 그린란드는 북극 항로의 중간 기착지로, 군사 및 물류 허브 역할 가능.
4. 북극의 자원 경쟁과 그린란드
-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북극에는 **미개발 원유(900억 배럴)와 천연가스(1669조 입방피트)**가 매장.
- 희토류·금·구리·아연 등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자원이 다량 매장.
- 중국·러시아가 적극적으로 자원 개발에 나서면서, 미국도 자원 확보 차원에서 개입 필요성 대두.
5. 미국의 북극 군사전략과 그린란드
- 미국은 알래스카에 이미 군사기지를 운영하며 북극 감시.
- 그린란드는 미국 공군기지(툴레 공군기지, Thule Air Base) 위치.
- 러시아·중국 견제 및 북극 항로 보호를 위해 전략적 가치 상승.
- 트럼프의 그린란드 매입 시도는 미국의 북극 방어망 강화를 위한 움직임으로도 해석 가능.
트럼프의 그린란드 전략 정리 (표)
그린란드 매입 시도 | 덴마크에 인수 제안했으나 거절당함. | 미국의 북극 영향력 확대 |
북극 항로 개척 | 해빙으로 인해 새로운 항로 개방(2030년 예상). | 물류 혁신 및 경제적 기회 창출 |
자원 확보 | 북극에 원유·천연가스·희토류 다량 매장. | 자원 경쟁에서 우위 확보 |
군사 전략 | 기존 툴레 공군기지를 활용한 북극 방어망 구축. | 러시아·중국 견제 및 안보 강화 |
트럼프의 전략은 단순한 영토 확장 욕심이 아니라, 경제·군사·전략적 측면에서 미국의 북극 패권을 확보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