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옵티마이즈 리디렉션 테스트 하는 방법 (feat. A/B 테스트)
본 글은 퍼포먼스 마케팅 실력을 함양하기 위해 정리하는 글 노트입니다.
Q. 구글 옵티마이즈란 무엇일까?
구글 최적화라는 의미로 어떤 웹페이지가 가장 목적에 최적화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A/B 테스트를 지원하는 구글 마케팅 플랫폼이다.
Q. 구글 옵티마이즈의 의의는?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CTA 버튼,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다양한 웹 요소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배치되어야 가장 효과적인 전환을 발생시키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입된 유저들의 이탈을 개선해 효율적인 마케팅을 기획할 수 있다.
Q. 구글 옵티마이즈의 장점은?
간단한 인터페이스의 단일 리포트를 제공해서 직관적인 페이지별 효율성 비교가 가능하다.
Q. 구글 옵티마이즈의 테스트 종류는?
구글 옵티마이즈는 A/B 테스트, 변수 테스트, 리디렉션 테스트, 맞춤설정, 배너 템플릿 총 5가지가 있는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1위는 리디렉션 테스트 2위는 A/B 테스트이다.
Q. 구글 A/B 테스트와 리디렉션 테스트의 차이는?
리디렉션 테스트는 애초에 URL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랜딩페이지를 비교 실험하는 반면
A/B 테스트는 둘 이상의 대안 페이지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원본 페이지를 복제한 다음 수정된 페이지를 비교한다.
즉 리디렉션 테스트는 원본 A 페이지, 대안 B 페이지를 비교한다면
A/B 테스트는 A페이지, A페이지 복사 수정본을 비교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게 어떤 차이가 있을까?
A/B 테스트는 페이지가 원본 하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수정하는데에 제한이 있는 반면
리디렉션 테스트는 원본 페이지와 대안 페이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있어서 수정하는데에 비교적 자유롭다.
그래서 리디렉션 테스트를 많이 실무에서 진행한다고 한다.
🪧구글 옵티마이즈 리디렉션 세팅하는 방법
옵티마이즈 리디렉션을 세팅하려면 두 개의 페이지를 준비해야한다.
1. 구글 옵티마이즈를 들어가서 전부 예라고 누르고 국가는 대한민국으로 바꾸어 진행한다.
2. [환경만들기]에서 리디렉션 테스트를 선택한다.
3. 랜딩페이지는 원본페이지 A로 선택한다.
4. 대안페이지는 B로 설정한다.
5. 타겟팅 변형에서 각각 50%로 가중치를 둔다.
대안 가중치에 대해서 조금 헷갈리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예시를 들어보려고 한다.
Ex. 각각 50%라는 이야기는 원본페이지로 들어온 사람들을 반 반 나누어줘!라는 의미이다.
그러면 100명 들어오면 50명 50명 나누는 것이냐? 그건 아니고 확률이 반반인 것이다.
예를 들어 A랑 B가 있으면 처음 온사람은 50%의 확률로 A나 B를 간다.
그니까 처음 5명이 각각 A로 갈 수 있는 것이다.
대안 가중치는 즉 너네 페이지로 갈 수 있는 확률을 50%로 설정할게!라는 의미이다.
6. 페이지 타겟팅은 원본 A 사이트로 설정한다.
7. 애널리틱스에 연결버튼을 클릭하여 GA와 커넥트 한다.
8. 목표는 세션 시간/ 이탈수 / 페이지뷰 수 중 하나를 선택해서 진행한다.
9. 최적화 도구 설치
최적화 도구 스니펫의 헤드 태그를 티스토리 html에 추가한다.
10. 트래픽 할당량 설정
트래픽 할당이란 이 실험이 적용되는 모든 방문자의 비율이다.
트랙픽 할당의 개념이 헷갈리기 때문에 예시를 들려고 한다.
Ex. 기존페이지 A로 접속중인 유저가 100명
트래픽 할당 50% 기존 A : ? 대안 B : ?
<풀이>
트래픽 할당 50%이기 때문에 실험 참가자 50명 / 실험 미참가자 50명
기존 A: 50명(실험 미참가자) + 25명(실험 참가자 절반) : 75명
대안 B: 25명(실험 참가자 절반)
쿠기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거나 테스트가 종료되지 않는 이상
한 번 들어온 페이지로 계속 들어옴
이러면 GA와 GTM과 구글 옵티마이즈를 세 곳 다 연결할 수 있다.
Q. 구글 옵티마이즈를 다룬다는 것이 취준생에게 주는 이점은?
구글 옵티마이즈가 조만간 없어진다는 이야기가 있다.
즉 구글 옵티마이즈가 해봤다가 아니라 구글 옵티마이즈를 경험을 통해
리다이렉트를 해보았고 리디렉션 테스트 경험과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더 배워야할 점은?
1. 대안 가중치의 정확한 의미
2. 트래픽 할당량에 대한 정확한 의미
3. 리디렉션 테스트를 통해 어떤 인사이트를 가질 수 있을까?에 대한 좀 더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