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성과형광고 GFA와 네이버보장형광고 NOSP에 대해서 알아보자.
🪧성과형과 보장형에 대한 기본개념
[성과형]
성과당 과금 = 후불 = cpm, cpc
성과중시형 = 성과를 위한 광고 운영이 가능
입찰가조정, 일예산조정, 게재지면 조정, 노출시간대 또는 요일조정
상세타겟 설정이 가능
[보장형]
구매한 노출량을 보장 = 선불
노출 중시형 = cpm, cpt
불특정다수 = 구매한 광고는 끝날때까지 조정 불가능
상세타겟 설정 불가능(광고 유형에 따라 성별, 연령, 지역은 설정 가능)
🔽NOSP란
네이버의 보장형 디스플레이 광고 플랫폼으로서 약정한 기간 혹은 노출수에 맞춰 안정적으로 집행할 수 있다.
광고주가 직접 집행할 수 있는 GFA와 달리 공식대행사 혹은 랩사를 통해서만 집행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지면으로는 타임보드와 롤링보드가 있으며 그 외에도 주제판 광고, 메인 브랜딩DA등 여러 지면에 광고를집행할 수가 있다.
🔽GFA란
네이버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 플랫폼으로서 네이버의 프리미엄 지면을 활용해 다양한 타겟 옵션을 제공하며 광고주의 일정에 맞춘 유연한 마케팅을 돕는 네이버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광고 플랫폼
[NOSP VS GFA]
NOSP = 브랜딩 DA → 보장형
GFA = 모바일 메인 → 성과형
[공통점]
같은 광고지면이다.
[차이점]
보장형으로 하고 싶다면 NOSP로
성과형으로 하고 싶다면 GFA에서 진행하면 된다.
Q. 다음중 입찰경쟁이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은 어딘가?
A.
네이버 입찰경쟁은 CPC로 이루어진다.
입찰경쟁이 높아진다는 것은 클릭당 비용이 높아지는 것이다. 예산은 정해져있다.
예를 들어
100,000원
CPC 500원 -> 클릭수 200번
CPC 2000원 -> 클릭수 5번
그렇기에 클릭수가 적다는 것은 그만큼 CPC가 높다는 것이다.
CPC가 높다는 것은 입찰 경쟁이 높다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예산이라는 가정하에,
클릭수가 가장 적은 밴드피드가 입찰경쟁이 가장 높다.
반면 클릭수가 가장 높은 모바일 서비스 통합이 입찰경쟁이 가장 낮다.
🪧네이버 성과형 광고 게재 위치
<네이버 모바일 메인>
네이버 모바일 메인 게재 지면 : 메인홈, 주제판 중단
장점 : 다른 지면에 비해서 주목도가 높을 수 있다.
단점 : 광고 게재 지면의 수가 적고 게재 범위가 좁고 도달되는 연령은 높게 나타난다.
<모바일 서비스 통합 지면>
장점 : 광고 게재 지면 수가 많고 도달 범위가 훨씬 넓다. 노출량도 높고 주 이용 연령이 낮은 사람들에게 노출된다.
단점 : 콘텐츠를 소비하는 중간에 노출되기 때문에 비교적 주목도가 조금 낮을 수 있다.
<스마트채널>
장점 : 게재 위치 최상단에 위치해서 주목도가 높다.
단점 : 광고 구좌의 크기가 작다.
-> 소구점이 직관적으로 보여주면서 이목을 끌어야한다.
-> 카카오 비즈보드 광고와 다른점은 이미지 배치를 좌측/우측을 선택할 수 있다.
디자인 주목도가 높은 팀의 경우 [서비스 통합 지면]을 통해 우리의 디자인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제품의 기능이 중요한 경우 [스마트 채널]을 통해 카피로 소구하는 것이 좀 더 나을 수 있다.